섹터

WFK 중장기 전략 수립을 위한 수원국 중심의 해외봉사단 성과 요소 분석

구영은1, 최경화2, 손성경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KOICA 월드프렌즈총괄팀 전문관
2KOICA 월드프렌즈총괄팀 전문관
3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지역학과 석사과정

© Copyright 2016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I. 서론

우리나라 해외봉사사업은 1989년부터 추진되기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점점 확대되었다. 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한국의 해외봉사단으로서, 한국의 해외봉사단의 위상이 최근 몇 년 간 급부상한 것은 높이 평가할 만 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KOICA의 월드프렌즈 해외 봉사단 파견사업(World Friends Korea, 이하 WFK)은 대표적인 국민참여형 협력 사업으로, 개도국에 우리 국민을 파견하여 봉사활동을 통해 개도국의 빈곤감소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