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운동재활 스포츠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사업의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몽골 체육대학을 대상으로

최미희1, 이한춘2, Gantumur Khongorzul3,*
Mi-Hee Choi1, Han-Chun Lee2, Gantumur Khongorzul3,*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마산대학교 재활과 교수
2마산대학교 재활과 교수
3경상국립대학교 산업경영학과 강사
1Professor,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asan University
2Professor,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asan University
3Lecturer,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Gyeon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hongoroo56@gmail.com

© Copyright 2023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26, 2023; Revised: Nov 09, 2023; Accepted: Nov 17, 2023

Published Online: Nov 30, 2023

요 약

몽골의 운동재활 산업은 아직 초기 개발 단계에 있고 운동재활산업은 현재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며, 스포츠 부상 예방 및 치료, 체력 향상 및 운동선수들의 성과 지원에서 운동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몽골의 스포츠재활과학산업 및 운동재활산업은 활발하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며, 자국민의 건강한 삶의 질 제고 및 운동선수들의 성과 지원을 위해 운동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의 운동재활분야의 현황을 살펴보고, 몽골의 운동재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몽골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의 요인을 도출할 것이다. 둘째, 몽골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 요인(바른 체형프로그램, 카이로프락틱, 재활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셋째, 몽골 운동재활교육의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기대효과 및 향후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e rehabilitation industry is currently an actively growing field, and Mongolia's rehabilitation industry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There is growing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thletic rehabilitation in preventing and treating sports injuries, improving physical fitness, and supporting athlete performance. Specifically, Mongolia’s sports rehabilitation science and exercise rehabilitation industries are actively growing fields,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xercise rehabilitation in improving citizens’ quality of life and supporting athlete performanc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lement a project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sports rehabilitation industry in Mongolia, faculty and 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urveyed regarding the status, understanding, and problems of sports rehabilitation in Mongolia. Seco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project,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Mongolian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body type diagnosis methods and correction related to sports rehabilitation, chiropractic, sports tapping, and injury room). Finally, the effectiveness and future implications of Mongolia's exercise rehabilitation project are provided.

Keywords: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 교육특성요인; 스포츠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사업; 만족도
Keywords: Sports Rehabilitation; Spor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Business; Satisfaction

Ⅰ. 서론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를 기점으로 한국은 스포츠 메가이벤트로 불리는 하계/동계 올림픽, 월드컵, 육상선수권대회를 모두 개최한 경험을 가진 국가로 발돋움하였다(연합뉴스, 2017년 9월). 이와 함께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를 꾸준히 추진해왔다. 구체적으로 1972년 태권도 사범 파견 사업을 시작으로 종목별 지도자 파견, 개도국 선수 및 지도자 초청 훈련, 스포츠 시설 및 용품 지원 등 단기 또는 단발성 사업을 시행해 왔다(노용구 외, 2016). 빈곤 감소 등 경제 사회 발전에 집중해왔던 ODA는 발전뿐 아니라, 이를 위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UN은 2000년도에 인류 발전을 위한 과제로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제시한 후 2015년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제시하였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사업을 위해서는 사업성과 평가를 통해 결과의 지속가능성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스포츠 ODA의 연수사업 역시도 이러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에 대한 필요성 역시 높아지고 있다(강지현·권기성, 2018).

한국은 세계 최초로 원조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하여, 개도국으로부터 개발 노하우를 전수 받기 위한 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스포츠 강국으로 알려진 우리나라는 저개발된 환경으로 역량개발 기회를 누리지 못하는 개발도상국의 우수한 스포츠 인재들을 국내로 초청하는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인 “개도국 스포츠 발전지원(dream together)” 사업을 도입하였다. 이는 개도국 스포츠 인적자원들이 한국의 스포츠 분야 발전 노하우를 경험하고, 자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전략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대규모의 예산이 투입되고, 다년간 많은 개도국 연수생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궁극적인 ODA사업으로서 어떤 개발성과를 이루어 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대내·외적으로 ODA사업의 성과관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의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 역시 정례화된 성과관리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한국 스포츠 전문가들의 현지에 가서 정기적으로 소통하며, 기술과 정보들을 교류하여 지속가능한 운동재활 사업의 발전의 기반과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몽골의 경우, 2019년 글로벌 질병조사 및 2020~2022년 건강지표에 따르면 업무상 장애로 이어지는 심장마비, 뇌졸중, 고혈압, 심혈관질환, 교통사고, 관절염, 목 및 허리 통증, 근골격계 질환, 신생아 질환, 암, 우울증, 불안, 정신질환 등으로 인한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몽골인 7명 중 2명, 총 99만 명이 재활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에서 재활 치료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높다는 것은 장애를 줄이고, 이동성을 회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재활 치료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몽골에서는 재활관련 시설이나 교수진 및 전문가 양성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며, 또한 국민의 재활관련 지식이나 운동선수들의 훈련 전후와 경기 전후 재활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필요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을 보았을 때 몽골의 운동재활 산업은 아직 초기 개발 단계에 이르며, 스포츠 부상 예방 및 치료, 체력 향상 및 운동선수들의 성과 지원에서 운동 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즉, 몽골에서는 스포츠재활과학산업 및 운동재활산업에 대한 인식이 활발하게 높아지고 있는 분야이며, 자국민의 건강한 삶의 질 제고 및 운동선수들의 성과 지원을 위해 운동재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병원이나 대학교 등에서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대학교의 학부 및 대학원 등 교육기관에서 운동재환 관련 단기 훈련 프로그램 및 평생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 및 기관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몽골에서는 운동재활 교육프로젝트를 통해 체육교사 및 체육지도사, 생활체육지도사, 전공교수들에게 고품질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하며, 몽골 국가개발계획 핵심과제에 부합하는 숙련인력개발비원, 고숙련 인력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스포츠 재활과학, 운동재활 관련 교육훈현 체제 강화 지원 및 엘리트 스포츠선도모델 개발, 타 공여기관의 협력사업 발굴을 통한 연계사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몽골 재활 및 운동재활에 대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파악하고, 경남 마산대학교에서 2023년 7월에 22~25일 사이에 “몽골의 운동재활사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몽골국립사범대학 체육학과 교수 및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운동재활 이론교육 8시간과 실습교육 16시간으로 총 24시간 교육을 진행하였다. 본 사업을 실시하기 전에 사전 수요 조사를 하였으며, 총 112명을 대상으로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 및 경험, 몽골의 운동재활현황, 한국 운동재활에 대한 인식 및 개인 정보 등 4개로 구분하여 14개의 항목을 가지고 수요주사를 하였으며, 수요조사에서 도출한 핵심역량 교육특성요인은 카이로프락틱, 재활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바른 체형프로그램 등이다. 따라서 본 사업 목적은 첫째, 몽골국립사범대학교(MSUE, Mongolian State University of Education)와 연계하여 운동재활서비스가 필요한 엘리트 선수, 일반생활체육 선수들과 지도자들에게 효과적인 운동재활서비스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운동재활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기, 둘째, 운동선수들의 인성 및 스포츠윤리교육 등 폭 넓은 주제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운동재활치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셋째, 향후 몽골에 운동재활센터의 건립을 추진하고, 정기적인 기술 및 정보 교류를 통한 지속가능한 운동재활 산업의 발전의 토대 마련하기 등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의 운동재활분야의 현황을 살펴보고, 몽골의 운동재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몽골 운동재활교육의 요인을 도출할 것이다. 둘째, 몽골운동재활교육(카이로프락틱, 재활 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바른 체형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만족도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셋째, 몽골 운동재활교육의 만족도조사를 기반으로 교육기대효과 및 향후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몽골 운동재활분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몽골재활 관련 선행연구나 인터넷 자료 및 몽골건강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였다. 둘째, 몽골운동재활교육의 주요 교육특성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몽골 운동재활교육의 만족도조사를 하기 위해 항목들 간의 타당성 검증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및 탐색적요인분석, 교육 간의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IBM,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몽골 운동재활분야의 현황

몽골의 경우, 2019년 글로벌 질병조사 및 2020~2022년 건강지표에 따르면 업무상 장애로 이어지는 심장마비, 뇌졸중, 고혈압, 심혈관질환, 교통사고, 관절염, 목 및 허리 통증, 근골격계 질환, 신생아 질환, 암, 우울증, 불안, 정신질환 등으로 인한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몽골인 7명 중 2명, 총 99만 명이 재활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 재활관련 치료분야를 보면 운동치료, 노동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나누어 재활 검사 및 진단, 시술 등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전통적인 방법으로 재활치료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경질환 재활치료, 근골격계 질환 재활치료, 뇌 및 척수 손상에 대한 재활 치료, 아동 재활 서비스, 근육 긴장 관리, 신경 장애가 있는 방광 및 장 관리, 통증 관리, 스포츠 부상에 대한 재활치료, 호흡기 질환에 대한 재활 치료, 심혈관 재활 치료, 노인 재활치료 및 수술 후 재활치료 등이다. 그러나 몽골에서는 스포츠선수나 운동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한 운동재활 치료가 전문적으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몽골에서는 재활 관련 노인 및 장애인 센터나 병원들이 몇 곳 없으며, 지방 쪽에는 아예 없는 형태로 보인다. 2015년에 처음으로 몽골 의대국립대학교랑 일본대학교와의 협력으로 재활의료센터가 설립되었다. 이 재활의료센터는 재활관련 여러 치료들을 제공하고 있으나, 스포츠에 관련 전문재활 치료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 재활의료센터의 2023년 보고서를 보면 최근 몇 년 동안 이 재활센터를 이용하는 환자들이 5배 늘었다고 한다. 그럼으로써 본 재활의료센터에서는 재활관련 장비나 기계들이 매우 부족하며, 노인과 성인재활, 어린이 및 장애인재활 관련 전문의사들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몽골 운동재활 자료가 찾기 어려운 관계로 운동재활 현황이나 정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제시하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있다. 몽골 전 지역에 재활관련 진료를 제공하고, 국민의 건강 요구에 기반한 전문적인 재활 진료와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의학 센터"의 운영을 확대해야 할 긴급한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2. 스포츠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사업

우리나라의 비약적인 발전은 국제사회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우리나라는 한국전쟁 직후 국민소득 67달러의 세계 최빈국이었다. 1945년 해방 이후 90년대 후반까지 국제사회로부터 받은 원조액수는 127억 달러로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약 600억 달러, 70조 원이 넘는 금액이다. 유·무상 합해 미국·일본(전부 보상금)으로부터 각각 55억 달러와 50억 달러를 받았으며, 한국민간구호계획(Civil Relief In Korea, CRIK), 유엔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등 유엔기구들로부터도 총 10억 달러를 지원받았다. 그 당시의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들로부터의 막대한 무상원조들은 한국이 경제 부흥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했으며, 장충체육관이나 세종문화회관, 경부고속도로건설이 이러한 원조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한국은 반세기여 만에 국민소득 3만 달러의 경제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받는 나라(수원국)에서 주는(공여국) 나라가 되었다. 그동안의 국제사회의 도움에 보답하는 동시에 국가 위상에 걸맞게 지구촌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20세기 대외원조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이자, 21세기 개도국이 가장 선호하는 발전 모델 중 하나이다(국제협력위원회, 2010). 이미 많은 개도국들이 한국의 개발경험을 배우고 싶어 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석학들 또한 한국의 발전경험이 개발도상국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KOICA는 설립(1991)부터 개도국을 대상으로 체육분야 봉사단원을 파견하고 있다. 종목으로는 태권도에서 총 412명의 가장 많은 봉사단원이 파견되었다. 태권도종목의 KOICA봉사단원들은 현지 선수를 지도하기도 하며, 일반인에 대한 태권도 교육활동을 하기도 한다. KOICA는 사업 분류상 ‘체육’ 또는 ‘스포츠’라는 카테고리는 없지만, ‘교육’ 분야에서 스포츠가 도구적으로 사용되어 수행되고 있다. 또한 KOICA에서는 태권도 봉사단원 다음으로 일반(체육교육) 단원을 파견하고, 그 외 농구, 축구, 배구 등 스포츠 종목의 지도자를 파견하기도 한다. KOICA봉사단원의 업무는 현지 초, 중, 고, 대학교, 직업학교 등에서 학생들의 정규체육수업을 지도하고, 그 외 현지 국가의 종목팀 지도를 맡기도 한다. 또한 현지의 체육·스포츠시설 보수, 설치용 기구 구비 등의 현지에서 요구하고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 사업을 KOICA 현지사무소에 신청하여 진행하기도 한다.

다수의 국제기구와 선진국, 비정부기구, 영리단체들이 스포츠를 매개로 한 다양한 국제개발프로그램을 자국의 중요한 스포츠외교 또는 공공외교의 의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에 여러 가지 창구를 통해 다양한 수준에서 참여하고 있다(노용구·신규리, 2014). 한국도 1970년대 태권도사범파견사업을 시작으로 주로 국제대회 개최를 위한 활동의 일환으 로 스포츠ODA사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체육기관을 통해 실시한 용품 지원, 지도자 파견, 선수 및 지도자 초청훈련 등의 단발적 성격의 사업을 거쳐, 지난 10년 간 지속되어 온 평창 동계 올림픽조직위원회 주관의 드림프로그램, 2013년부터 추진된 문화체육관광부의 ʻDREAM Togetherʼ 프로그램이 중장기 사업으로서 자리 잡았다(노용구, 2016).

3. 운동재활사업의 선행연구

국제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대한민국도 공적개발원조에 있어서 스포츠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심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적개발원조에 있어 스포츠의 도구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는 극히 소수만 존재하고 있다. 공적개발원조와 관련된 스포츠분야의 연구에서는 공적개발원조를 바탕으로 스포츠외교력 강화와 관련된 연구(강동원·이충영, 2002)가 몇 편 출판되어 있을 뿐이다. 특히 스포츠와 체육은 개발도상국의 교육과 신체건강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며(김범식·이정우, 2009),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은 수년 전부터 스포츠와 관련하여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운동재활 및 스포츠사업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김범식·이정우(2009)의 스포츠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한국 스포츠외교력 강화 방안 연구에서는 스포츠를 활용한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활성화를 통하여 한국의 스포츠외교력을 강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UN이 설정한 새천년 개발목표의 내용과 이를 이룩하는 데 있어서 스포츠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호주, 캐나다 그리고 영국 등의 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 프로그램을 검토해 보았고, 이를 근거로 한국에서 현재 진행 중인 스포츠를 매개로 한 개도국 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그 대안점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에서 한국은 경제력이나 스포츠 경기력에 비해 스포츠를 이용한 공적개발원조 활동이 현저히 낮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스포츠를 활용한 국제개발 사업에 보다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사업은 당장의 국익에 우선하여 실시하기보다는 인류의 보편적인 가치에 근거하여 진행되어져야 하며, 그리고 스포츠를 통한 국제개발 사업의 활발한 참여를 통하여 국제스포츠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아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강지현·권기성(2018)의 “스포츠분야 ODA연수사업 지속가능성 증대를 위한 요인 도출 연구”에서는 개발도상국 스포츠 분야 연수사업 결과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ODA연수사업에 참여하였던 개발도상국 학생 7명이며, 문헌조사, 서면조사, 심층면담과 같은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귀납적 범주화 및 항목화 과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역랑, 공적제도, 스포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정부정책, 사회문화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요인은 향후 ODA연수사업의 지속성 확보를 위한 계획, 실시 및 평가 시 지표로 활용과 개발도상국은 귀국한 인력들이 역량을 적극 발휘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회를 마련하여 연수사업 결과의 지속가능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황은성(2016)의 “한국의 체육 스포츠 분야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책방향 연구”에서는 체육·스포츠 ODA 지원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과 문화체육관광부의 체육·스포츠 ODA 지원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결과를 통해 한국국제협력단의 봉사단 파견 현황, 스포츠 센터 건립, 교육분야 지원 현황과 문화체육관광부의 ODA 프로그램 현황, 드림투게더, 스포츠 동반자 프로그램, 태권도 사업 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에 원조를 받고 있는 수혜국 중의 하나인 캄보디아 캄퐁스프주를 방문하여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육 현지실태를 파악하여 캄보디아에서 공적개발원조(ODA)를 받지 않는 지역으로 체육교육 실태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국제협력단(KOICA) 체육교육분야의 공적개발원조의 새로운 지원방향을 제시하였다.

유현규(2018)의 “한국의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 성과관리체 구축연구”에서는 한국의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 성과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롭게 성과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3단계 추진체계를 수립하였다. 1단계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의 기존 성과관리 현황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성과목표를 재정립하였다. 2단계는 문헌조사를 통해 연수사업 주요 성과관리 이론을 조사하여 성과논리모형(안)을 수립하고, 각 단계별 성과지표를 수립하였다. 3단계는 1, 2단계에서 수립한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의 가중치 검토를 위해 전문가 대상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성과모형 수립 및 성과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구결과,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은 국제사회의 스포츠 ODA 논의 흐름과 우리 정부의 정책기조에 전반적으로 부합하나, 목표 설정의 표현이 다소모호한 한계로 인하여 사업의 전반적 기획방향이 스포츠를 통한 개발이라는 상위목표를 정확히 겨냥하지 못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논리모형과 커크패트릭 4단계 모형을 조합한 성과관리모형을 수립하였으며, 전문가 대상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지표별 가중치 검토를 실시하였고, 사업운영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조경환(2020)의 복지서비스로서 대학의 운동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는 융합복지서비스인 운동재활 분야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대학의 운동재활 인재 현주소를 파악하고, 보건 및 체육 분야 인재 양성 상황 속에서 실무적이며, 실용적인 대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운동재활 인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의 확대 적용을 통한 실용적인 운동재활 인재의 고용안정화를 도모하며, 체험 교육, 원격 교육, 팀워크 체제 교육, 융합 교육 등을 통한 커뮤니티 공간도 확충해야 하며, 운동재활이 직업군으로의 제도권 진입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운동재활 및 관련 학과 단위의 진로교육인프라 구축을 확대해야 하며, 문화체육관광부와 보건복지부와의 협업을 통해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등 특성화된 운동재활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운동종목 능력과 운동재활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를 순회강사로 활용하여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Ⅲ. 연구설계

1. 연구방법 및 설계

먼저 경남 마산대학교에서 실시한 “몽골의 운동재활사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교육특성요인을 선정하기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4개의 교육과목을 선정하였다. 몽골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 교육특성요인은 스포츠선수 재활운동(카이로프락틱,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및 일반인 재활운동(재활트레이닝, 바른 체형프로그램) 등이다. 그리고 이 4개의 교육특성요인을 바탕으로 몽골운동재활교육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몽골 현지에서 운동재활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몽골사범국립대학교의 체육대학 교수진 및 학생들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 기간은 2023년 7월 22일에서 7월 25일 사이에 4일간 진행하였다.

1) 몽골운동재활 수요조사의 설계
(1) 분석방법

몽골의 운동재활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준비자료로 먼저 몽골 현지 관계자들의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도 및 경험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4월 1일에서 2023년 4월 7일 사이에 7일간 온라인 형태로 설문지를 배부를 하였으며, 총 112명이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2) 측정문항

수요조사의 주 측정문항은 <표 1>과 같으며, 총 1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 및 경험, 몽골의 운동재활 현황, 한국 운동재활에 대한 인식 및 기본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표 1. 수요 조사의 주 측정문항
번호 구분 항목
1-1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 및 경험 운동재활에 대해 알고 있는가
1-2 운동재활 참여에 대한 경험
1-2-1 있을 경우 어떤 경험이 있는가
2-1 몽골의 운동재활 현황 운동재활 분야 중 관심분야
2-2 운동재활 분야의 수준
2-3 운동재활 분야의 중요도
2-4 향후 운동재활서비스 사업의 전망
3-1 한국 운동재활에 대한 인식 한국의 운동재활에 대한 예상 수준
3-2 한국의 운동재활 교육 희망 분야
3-3 한국의 운동재활 교육 참여 희망
4-1 개인 정보 직업
4-2 연령
4-3 성별
4-4 관련 운동(스포츠)
Download Excel Table
2) 몽골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의 설계
(1) 연구분석방법

몽골의 운동재활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효과적인 성과를 위한 운동재활 관련 바른 체형 프로그램, 카이로프락틱, 재활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등의 4개의 교육을 선정하였으며,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23년 7월 22일에서 2023년 7월 25일 사이에 4일간 현지에서 구글 설문지로 배포를 하였으며, 교육 참여자 총 33명이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2) 측정문항

몽골의 운동재활산업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효과적인 성과를 위한 만족도 조사의 주 측정문항은 <표 2>와 같으며, 총 1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성별, 나이, 직업과 “강의 이론 및 이론적 내용에 만족합니까?(A1)”, “강의 실습 내용에 만족합니까?(A2)”, “강의 전체적인 내용에 만족합니까?(A3)”, “이 강의 듣기 전에 바른 제형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A4)”, “강의 내용이 귀하의 기대와 일치합니까?(A5)”, “본 강의의 강사에 만족합니까?(A6)”, “강의 장소나 시설에 만족합니까?(A7)”, “본 강의에서 배운 것을 향후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A8)”,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A9)”,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A10)”, “강의의 이론 및 실습, 장소나 시설 등 전체적으로 다 만족합니까?(A11)” 등이다. 모든 문항은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표 2.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
문항
강의 이론 및 이론적 내용에 만족합니까?(A1)
강의 실습 내용에 만족합니까?(A2)
강의 전체적인 내용에 만족합니까?(A3)
이 강의 듣기 전에 체형진단방법 및 교정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A4)
강의 내용이 귀하의 기대와 일치합니까?(A5)
본 강의의 강사에 만족합니까?(A6)
강의 장소나 시설에 만족합니까?(A7)
본 강의에서 배운 것을 향후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A8)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A9)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A10)
강의의 이론 및 실습, 장소나 시설 등 전체적으로 다 만족합니까?(A11)
나이
성별
직업
Download Excel Table
2.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 내용

경남 마산대학교에서 2023년 7월 22일에서 2023년 7월 25일 사이에 4일간 몽골국립사범대학교 체육대학에서 몽골의 운동재활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효과적인 성과를 위한 운동재활 관련 바른 체형 프로그램, 카이로프락틱, 재활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등의 4개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대상자들은 몽골국립대학교 체육대학 교수진 및 대학생였으며, 총 33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는 4개의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재활트레이닝 교육 내용은 운동 수행시 사용된 관절 및 근육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염증반응 억제효과와 함께 피로회복 및 스트레츠 해소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내용의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부상방지 재활 교육은 스트레칭 및 마사지를 통하여 손상되고 굳은 근육과 관절들의 가동성을 향상, 기능을 회복하여 인체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으로 내용이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바른체형 교육은 근육과 관절의 어긋남을 바로잡고, 올바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혈액, 림프액, 조직액 등 대사순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탄력밴드와 맨몸을 활용하여 적정강도로 운동을 진행하여 근육량 및 근력의 증가를 가져오고, 근골격계질환 예방 및 자세교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카이로프락틱 교육은 카이로프랙틱 테이블을 사용하여 척추의 후관절(facet joint)에 관절운동범위를 약간 넘도록 고속(high velocity), 저강도(low amplitude)의 자극을 가하여 후관절을 늘어나게 해주어 척추를 교정 프로그램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Ⅳ. 실증분석

1. 몽골 운동재활 수요조사 결과

몽골 관계자들의 일반적 사항은 <표 3>과 같으며, 현재 신분은 학생 46명(41.1%), 교수 48명(42.9%)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30세’ 60명(53.6%)과 ‘31~40세’ 30명(26.8%), 41~50세 12명(10.7%), 51~60세 10명(8.9%)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자 58명(51.8)과 여자 54명(48.2%)으로 나타났다. 현재 관련 운동은 대표로 체조 25명(22.3%), 농구 17명(15.2%), 레슬링 12명(10.7%), 육상 12명(10.7%), 배구 10명(8.9%)으로 나타났다.

표 3. 일반적 사항
문항 응답 빈도 퍼센트
귀하는 현재 신분은? 학생 46 41.1
교수 48 42.9
그 외( ) 18 16.1
귀하의 연령은? 20~30세 60 53.6
31~40세 30 26.8
41~50세 12 10.7
51~60세 10 8.9
60세 이상 - -
귀하의 성별은? 58 51.8
54 48.2
현재 관련이 있거나 참여하고 있는 운동(스포츠)을 직접 기입바랍니다. 농구 17 15.2
레슬링 12 10.7
육상 12 10.7
체조 25 22.3
배구 10 8.9
기타 36 32.1
Download Excel Table

몽골 현지 관계자들의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도 및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표 4>)에서 먼저 “운동재활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의 응답은 ‘네’ 82명(73.2%)과 ‘아니오’ 30명(26.8%)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재활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까?”의 응답은 ‘네’ 76명(67.9%)과 ‘아니오’ 36명(32.1%)으로 나타났다. “운동재활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면 어떤 경험이 있습니까?”의 응답으로 관계자들에게 복수응답하기로 했으며, 총 112명 응답 중 운동상해(부상치료)는 32명(24.4%), 트레이닝 30명(23.1%), 교육 30명(23.1%)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리(컨디셔닝) 14명(11.2%), 체형교정 10명(9.1%)으로 나타났다.

표 4.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도 및 경험에 대한 분석결과
문항 응답 빈도 퍼센트(%)
1-1. 운동 재활에 대해 알고 있습니까? 82 73.2
아니오 30 26.8
전체 112 100.0
1-2. 운동 재활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까? 76 67.9
아니오 36 32.1
전체 112 100.0
1-2-1. 운동 재활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면 어떤 경험이 있습니까? 운동상해(부상치료) 32 24.4
건강관리(컨디셔닝) 14 11.2
체형교정 10 9.1
트레이닝 30 23.1
교육 30 23.1
그 외( ) 10 9.1
전체 122 100.0
Download Excel Table

그 다음으로 “몽골내에서 운동재활의 분야에서 관심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를 복수응답으로 했으며, 총 236명 응답 중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 재활’이 66명(28.0%)과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이 70명(29.7%)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노인 대상의 운동재활’이 46명(19.5%)과 ‘장애인 대상의 운동 재활’이 52명(22.0%)으로 나타났다.

“몽골의 운동 재활의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의 ‘보통이다’ 46명(41.1%), ‘매우 낮음’ 30명(26.8%)과 낮음 28명(25.0%)으로 나타났다. 또한 “몽골에서 운동재활의 중요도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의 ‘매우 중요함’ 100명(89.3%)으로 나타났다. “몽골에서 운동재활 서비스 사업의 미래 전망이 어떠하다고 생각합니까?”의 ‘좋음’ 52명(46.4%)과 ‘매우 좋음’ 44명(39.3%)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몽골 운동재활 관심분야, 수준, 중요도의 결과
문항 응답 빈도 퍼센트(%)
몽골 내에서 운동 재활의 분야에서 관심 있는 분야는 무엇입니까?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 재활 66 28.0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 70 29.7
노인 대상의 운동재활 46 19.5
장애인 대상의 운동 재활 52 22.0
그 외( ) 2 0.8
전체 236 100.0
몽골의 운동 재활의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 매우 낮음 30 26.8
낮음 28 25.0
보통이다 46 41.1
높음 4 3.6
매우 높음 4 3.6
몽골에서 운동재활의 중요도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 매우 중요하지 않음 2 1.8
중요하지 않음 2 1.8
보통이다 2 1.8
중요함 6 5.4
매우 중요함 100 89.3
몽골에서 운동재활 서비스 사업의 미래 전망이 어떠하다고 생각합니까? 매우 나쁨 - -
나쁨 2 1.8
보통이다 14 12.5
좋음 52 46.4
매우 좋음 44 39.3
Download Excel Table

다음으로 “한국의 운동재활에 대한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의 ‘매우 높음’ 56명(50.0%)과 ‘높음’ 42명(37.5%)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또한“한국으로부터 운동재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어느 분야가 좋다고 생각합니까?”는 복수응답으로 했으며, 총 252명 응답 중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 재활’ 66명(26.2%)과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 78명(31.0%)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으로부터 운동 재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참여할 의사가 어느 정도입니까?”의 ‘적극참여’ 74명(66.1%)과 ‘참여’ 26명(23.2%)은 제일 높게 나타났다(<표 6> 참조).

표 6. 한국 운동재활 수준 인식, 관심 교육분야, 참여의사 등의 결과
문항 응답 빈도 퍼센트(%)
한국의 운동 재활에 대한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합니까? 매우 낮음 - -
낮음 2 1.8
보통이다 12 10.7
높음 42 37.5
매우 높음 56 50.0
한국으로부터 운동재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어느 분야가 좋다고 생각합니까?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 재활 66 26.2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 78 31.0
노인 대상의 운동재활 46 18.3
장애인 대상의 운동 재활 52 20.6
그 외( ) 10 4.0
전체 252 100.0
한국으로부터 운동 재활 교육을 실시한다면 참여할 의사가 어느 정도입니까? 전혀 관심없음 2 1.8
관심없음 2 1.8
모르겠다 8 7.1
참여 26 23.2
적극 참여 74 66.1
Download Excel Table
2. 몽골운동재활교육 만족도 조사 결과

본 조사는 몽골 사범국립대학교 체육대학교의 교수진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음의 14개의 문항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표본의 특성 문항 3개와 강의만족도 문항 11개이다. 성별은 남자 15명과 여자 18명이 참여하였다. 나이는 20세 이하 10명(30.3%), 20~30세 11명(33.3%), 30~40세 4명(12.1%), 40~50세 5명(15.2%)과 50세 이상이 3명(9.1%)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학생이 17명(51.5%), 교수 12명(36.4%)과 기타 4명(12.1%)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표 7. 교육의 일반적 사항
구분 %
성별 남자 15 45.5
여자 18 54.5
나이 20세 이하 10 30.3
20~30세 11 33.3
30~40세 4 12.1
40~50세 5 15.2
50세 이상 3 9.1
직업 학생 17 51.5
교수 12 36.4
기타 4 12.1
Download Excel Table
1)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본 연구는 항목 간의 내적일관성을 추정할 수 있는 Cronbach's Alpha 계수를 이용하였다. 신뢰성을 분석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일반적으로 신뢰계수가 0.6 이상이면 비교적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본 연구의 신뢰성 계수는 모두 0.6 이상을 넘어서 문항의 내적일관 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타당성 분석은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가 적절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아이겐 값(eigen value) 1 이상, 공통값 0.5 이상을 평가 기준으로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요인적재값의 패턴과 분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신뢰도 및 요인분석 결과
문항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a1 .846 .903
a2 .817
a3 .883
a4 .995
a5 .855
a6 .887
a7 .889
a8 .883
a9 .915
a10 .920
a11 .912
Download Excel Table
2) 기술통계분석 결과

먼저 체형진단방법 및 교정 강의의 총 평균값은 M=4.49로 나타났다. 순위로는 “본 강의의 강사에 만족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76으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와 “강의의 이론 및 실습, 장소나 시설 등 전체적으로 다 만족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70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강의 듣기 전에 체형진단방법 및 교정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 라는 문항이 평균값이 M=3.48으로 나타나 참여자는 전에 체형관련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카이로프락틱 강의의 평균값은 M=4.49로 나타났다. 순위로는 “본 강의의 강사에 만족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78로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와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75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강의 듣기 전에 카이로프락틱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 라는 문항이 평균값이 M=2.68로 나타나 참여자는 전에 카이로프락틱 관련을 내용을 잘 모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재활트레이닝 강의의 평균값은 M=4.51로 나타났다. 순위로는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와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등 문항의 평균값이 M=4.68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본 강의에서 배운 것을 향후 사용할 의한이 있습니까?”와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65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강의 듣기 전에 스포츠태핑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 라는 문항이 평균값이 M=3.68로 나타나, 참여자는 전에 스포츠태핑 관련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상방지 강의 평균값은 M=4.64로 나타났다. 순위로는 “강의 이론 및 이론적 내용에 만족합니까?”,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까?”와 “강의의 이론 및 실습, 장소나 시설 등 전체적으로 다 만족합니까?” 등 문항의 평균값이 M=4.80으로 각각 제일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강의 실습 내용에 만족합니까?”, “강의 전체적인 내용에 만족합니까?”, “강의 장소나 시설에 만족합니까?”, “본 강의에서 배운 것을 향후 사용할 의향이 있습니까?”와 “본 강의는 귀하의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문항의 평균값이 M=4.76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강의 듣기 전에 부상방지에 관련 알고 있었습니까? 라는 문항이 평균값이 M=3.40으로 나타나, 참여자는 전에 부상방지 관련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표 9>).

표 9. 기술통계분석 결과
문항 체형진단방법 교정 카이로프락틱 재활트레이닝 부상방지
평균 편차 순위 평균 편차 순위 평균 편차 순위 평균 편차 순위
A1 4.52 .795 4.58 .568 4.50 .622 4.80 .484 1
A2 4.67 .736 3 4.58 .568 4.50 .672 4.76 .504 2
A3 4.52 .667 4.62 .561 5 4.53 .621 5 4.76 .504 2
A4 3.48 1.417 2.68 1.53 3.68 1.14 3.40 1.19 4
A5 4.56 .840 5 4.65 .552 4 4.62 .609 3 4.73 .520 3
A6 4.76 .751 1 4.78 .435 1 4.59 .614 4 4.73 .520 3
A7 4.50 .880 4.65 .552 4 4.53 .621 5 4.76 .504 2
A8 4.58 .830 4 4.65 .552 4 4.65 .653 2 4.76 .504 2
A9 4.67 .777 3 4.75 .435 2 4.68 .592 1 4.76 .504 2
A10 4.70 .637 2 4.75 .435 2 4.68 .535 1 4.80 .484 1
A11 4.70 .637 2 4.72 .454 3 4.65 .545 2 4.80 .484 1
총 평균 M=4.49 M=4.49 M=4.51 M=4.64
Download Excel Table
3. 요약 결과 및 토론점
1) 운동재활교육프로그램 과목을 도출하는 수요조사의 결과 및 토론

먼저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 과목을 도출하는 수요조사를 살펴보면, 학생 및 교수진은 비슷하게 표본을 이루고 있고, 20대에서 40대까지 연령이 많이 참여하였다. 현재 주로 하고 있는 운동 주목은 체조와 농구였으며, 운동재활에 대한 인지도 및 경험에 대한 대부분이 “네”라고 응답하였다. 수요조사 참여자들은 재활 및 운동재활관련 인지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운동재활 경험에 대한 복수응답에는 대부분이 운동상해(부상치료), 트레이닝 및 재활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강관리(컨디셔닝)과 체형교정 프로그램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몽골에서 관심 있는 재활분야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는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 재활과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 분야가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노인 및 장애인 대상 재활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미 몽골에는 노인과 장애인에 대한 재활은 병원이나 관련 기관에서 전통대체의학이나 물리치료로 어느 정도 발달이 잘 되어 있는 상태이며, 반면 스포츠선수이나 일반인들을 중심으로 한 재활 시설이나 교육프로그램은 없으며, 몽골에서는 관심 있는 중요한 분야로 판단된다. 그리고 몽골운동재활 수준에 대한 결과를 보면 대부분이 보통이다와 매우 낮음으로 응답하였으며, 반면 몽골운동재활 중요도에 대한 결과는 매우 중요함으로 나타났다. 이는 참여자들이 몽골운동재활 수준이 매우 낮은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운동재활분야가 몽골에 매우 중요한 분야인 것을 인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몽골 운동재활 서비스사업에 대한 미래 정망에 대한 결과를 보면 좋음 및 매우 좋음으로 나타났으며, 몽골에서는 운동재활사업은 새로운 사업으로도 판단된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운동재활 수준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보면 대부분이 매우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한국으로부터 운동재활교육을 실시한다면 어느 분야의 과목에 관심이 있는지에 대한 결과, 스포츠선수 대상 운동재활과 일반인 대상 운동재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선수를 대상으로 한 운동재활프로그램으로 카이로프락틱 및 부상방지 과목을 선정하였고, 일반인 대상으로 한 운동재활프로그램으로 재활트레이닝 및 바른 체형프로그램 과목을 선정하였다.

2)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조사의 결과 및 토론

본 조사는 몽골 사범국립대학교 체육대학교의 교수진 및 학생들 33명을 대상으로 14개의 문항으로 각각 4개의 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 17명, 교수 12명, 기타 4명으로 교육에 참여하였으며, 연령은 20세 이하랑 20~30세가 대부분였다. 운동재활교육프로그램 과목별로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먼저 바른 체형프로그램과 카이로프락틱 강의의 총 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4.49로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다. 두 과목 모두 11개항목 중에서 강사의 만족도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사의 전문 지식과 강의 PPT와 실습 준비성 등 한국강사에 대한 여러 요소들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과목 모두 향후 및 현 직업에 효과가 클 것이라고 나타났으며, 또한 직업능력 활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자 모두 현재 및 향후에도 체육 및 스포츠 관련 직업을 할 거라서 두 과목내용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바른 체형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참여자들이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카이로프락틱에 대한 내용을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재활트레이닝 교육에 대한 결과를 보면 본 교육은 향후 및 현 직업능력 활성과 직업효과에 큰 도움 될 것인가가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재활트레이닝 과목은 운동선수나 체육학생들에게 매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 중 하나이며, 참여자들 또한 이 과목에 대한 중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재활트레이닝에 대한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상방지 교육에 대한 결과를 보면 다른 교육에 비하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강의 이론 및 이론적 내용에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 또한 운동선수나 체육대학 학생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교육 중 하나이며, 몽골 대학생들 또한 부상방지에 대한 높은 중요도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본 연구는 먼저 몽골의 운동재활분야의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몽골의 운동재활의 문제점과 팔요성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몽골 운동재활사업교육의 프로그램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몽골 사범국립대학교 체육대학 교수진 및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몽골운동재활교육 프로그램(카이로프락틱, 재활 트레이닝,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바른 체형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만족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현지 관계자들은 운동재활에 대한 알고 있으며, 운동재활에 참여한 경험도 있다. 대부분의 관계자들은 운동재활 경험이 운동상해, 트레이닝 및 교육관련이 높았으며, 반면 건강관리(컨디셔닝)과 체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제 몽골에서는 노인 및 장애인 대상 재활은 어느 정도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만,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재활’과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의 부족한 상태로 보인다. 따라서 스포츠선수들뿐만 아니라,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이 몽골에서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몽골에서는 운동재활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국민의 재활 인식을 높아야 할 것이다. 이번에 경남 마산대학교에서 실시한 몽골운동재활 전문 양성 사업 프로그램 처럼 운동선수나 체육대학 학생들 및 교수진들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교육였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스포츠ODA사업을 몽골에서도 많이 진행해야 한다. 또한 운동재활서비스의 질을 향상, 운동선수들의 인성 및 스포츠윤리교육 등 폭 넓은 주제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선수 대상의 운동재활’을 카이로프락틱과 부상방지 재활 프로그램, ‘일반인 대상의 운동재활’을 재활트레이닝과 바른 체형교정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4개 교육프로그램으로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모든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참여자들 모두 향후 및 현 직업에 활용할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나타났다. 따라서 몽골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을 물리치료나 전통대체학을 위조로 이론적인 교육내용을 하는 것보다 실제 직업이나 현장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들로 내용을 채우는 것이 매우 중요한다. 그럼으로써 이번에 경남 마산대학교에서 실시한 몽골운동재활 전문 양성 사업 프로그램처럼 직업이나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풍부한 운동재활프로그램 내용들이 운동선수나 체육대학 학생들 및 교수진들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운동재활프로그램 내용였으며, 향후 몽골에서는 이와 같은 스포츠ODA사업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수요조사에서는 몽골 현지 관계자들에게서는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이 매우 필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을 몽골에서 진행하였을 때도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몽골 체육대학이나 의대대학에서는 운동재활이 중요성을 제시는 하고 있지만,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진 교수나 강사가 아주 적은 이유로 몽골에서 운동재활분야가 활발하게 발전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몽골 정부에서는 운동재활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적극 지원을 해야 하며, 해외국가들과도 적극적인 협력활동을 해야 한다. 또한 몽골의 스포츠산업 분야에서의 역량강화와 산업 발전을 위해 스포츠산업 관련 연구 및 기업과의 협력 프로그램 등의 지원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몽골 운동재활산업 선진화를 이끌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통해 인력 증가의 지속성과 확장성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가 매우 미흡한 이유로 본 연구는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 요인을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지 않고 수요조사를 통해 도출하였으며, 도출요인들은 이론적인 부분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 관련 기존 주요 요인(교육품질요인, 교육참여효과, 교육역량 등)들을 선정하여 검토하고,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과 접목 시켜 의미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운동재활프로그램 ODA사업 연구로서 효과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다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연구를 해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의 수요조사는 체육관련 관계자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운동재활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는 교육에 참여한 몽골 사범국립대학교 체육대학 교수진과 학생들로 하였으며, 이는 일반화 할 수 없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특성의 더 넓은 범위의 대상을 가지고 분석을 해야 한다.

참고문헌

1.

강동원, 이충영. (2002). 체육사: 태권도의 발전과정에 따른 스포츠외교와 태권도의 역할. 한국체육학회지, 41(5), 3-14.

2.

강지현, 권기성. (2018). 스포츠 분야 ODA 연수사업 지속가능성 증대를 위한 요인 도출.국제개발협력연구, 10(3), 543-569.

3.

김범식, 이정우. (2009). 스포츠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활성화를 통한 한국 스포츠외교력 강화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8(3), 101-112.

4.

노용구. (2016).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스포츠개발원.

5.

노용구, 권순용, 윤영선. (2016). 스포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인식 및 추진전략.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203-213.

6.

노용구, 신규리. (2014). 국민체육진흥기금 생활체육 시설지원사업의 적절성 평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1), 387-396.

7.

연합뉴스. (2017년 9월). 국제 스포츠이벤트 ‘그랜드슬램’ 달성한 나라는. https://www.yna.co.kr/view/AKR20170818126800007

8.

유현규. (2018). 한국의 초청연수형 스포츠 ODA사업 성과관리체 구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9.

조경환. (2020). 코로나19 시대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141-160.

10.

황은성. (2016). 한국의 체육·스포츠 분야 공적개발원조(ODA)의 정책방향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춘천.

KCI 신규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

코이카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국제개발협력'이 한국연구재단의 2023년도
학술지 평가에서 KCI 신규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되었습니다.

국제개발협력은 국내 국제개발분야 대표 학술지로서, 2025년 등재학술지로의
승급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등재후보지 선정을 위해 힘써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국제개발협력' 논문 투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