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출자통합 관리 | 집중화 | EU의 보완성 증진을 위한 수단 | |||
---|---|---|---|---|---|---|
예산지원 | 분업 | 공동 프로그래밍 | 비교우위에 기한 전문화 | |||
방식 | 하나의 공여 채널로 통합 | 분야/국가의 수 축소 | 수원국 재정부에 재정을 지원 (일반, 부문) | 공여국 간 또는 수원국과 사업 추진에 역할분담 | 위임협력, 리딩 공여국과 협정 | EC, 회원국 간 전문화에 따른 분담 |
실행 | 관심저조 | 회원국은 수원국수 축소에 더 관심 | 다자중심으로 실행 | FTI로 지속추진 | 2004부터 추진 | 관심 저조 |
평가 | 논의저조 | 원조 소외국 문제 | 다소 부정적으로 전환 | 일정 효과 | 공여국 가시성 확보로 확대 예상 | EC 주도의 한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