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표 2 KOICA 기후변화 관련 부문별 중기전략과 성주류화 요소의 부재

부문 성과(outcome) 지표 산출물(output) 지표
농촌개발 (지속가능한 농림수산업) 소규모 농업인(소농)/농촌주민 평균 소득(SDG 2.3.2) 1-1. 영농·수산기술 역량강화 지원받은 수혜자 수*1-2. 영농 기자재 지원 받은 수혜자 수*1-5. 증가한 농촌지도사 혹은 연구인력 수*2-1. 농민협동조직 조합원 수* 추이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산어촌 개발)1. 소규모 농업인(소농)/농촌주민 평균 소득(SDG 2.3.2) 1-2. 금융 접근성이 개선된 신규 수혜자 수*1-3. 농업 외 소득활동 지원을 받은 수혜자 수*2-1. 농촌도로 건축/보수 구간 길이 및 수혜자 수*2-2. 신규 설치된 전력시설 용량 및 수혜자 수*2-3. 신규 설치된 식수 관련 시설 수 및 수혜가구2-4. 소득 이외 분야 역량강화 지원을 받은 수혜자 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농산어촌 생산체계 구축)1.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에 사용되는 농지면적 비율(SDG 2.4.1)2.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이행 비율(SDG 15.2.1) 1-1. 기후위험 완화 방식(섞어짓기, 농업보험, 농업대출) 도입 비율2-2. 산림경영·생태계 안정 역량강화 지원을 받은 수혜자 수*
보건 (보건위기 대응 역량강화)감염병 환자 발생 또는 유행인지에서 대응까지 24시간 이내인 사건 비율주요 감염병/소외열대질환 유병률/발생률주요 감염병 진단 또는 치료 수혜자 수(비율; SDG 3.3.2, 3.3.3, 3.3.5) 감염병/소외열대질환 예방/대응 교육을 받은 주민 수*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이용 인구 수(비율; SDG 6.1.1)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시설 이용자 수(비율; SDG 6.2.1) 식수위생 관리 교육을 이수한 보건의료인력* 및 마을주민 수*
(자원으로서 지속가능한 물 이용 보장)• [SDG 6.1.1]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이용 인구수/비율(보건 공통지표)•[SDG 6.2.1]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시설 이용 인구수/비율(보건 공통지표) • 기본적인 수준의 식수에 접근이 가능한 인구수(가구/학교/보건시설)(명)*• 기본적 수준의 화장실 시설에 접근이 가능한 인구수(가구/학교/보건시설)(명)*• 식수위생 관리교육을 받은 보건의료 인력 수(명)*• 식수위생 관리교육을 받은 마을주민의 수(명)*• 비누를 사용하여 주요 시점마다 손 씻기를 행하는 인구 수(가구/학교/보건시설)(명)*
(기후위기 대응 및 적응력 강화를 위한 물 재해 관리)• [전략지표] 물 관련 재해위험 이해도(1∼5) • 안전한 물 공급/폐수처리 등의 관리교육을 받은 관리자(공무원) 수(명)*• 안전한 물 공급/폐수처리 등의 관리교육을 받은 주민 수(명)*• 통합물관리/재해관리 역량강화 교육훈련을 받은 관리자(공무원) 수(명)*
•물 배분(water allocaton) 업무가 가능한 조직/인력 수(명)*•통합물관리/재해관리 역량강화 교육훈련을 받은 관리자(공무원) 수(명)*• 물 관련 재해대응 인식개선 교육 및 훈련을 받은 마을주민의 수(명)*
에너지 (에너지 소외계층의 접근성 개선)1)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수혜자 수(명)-성별분리(SDG 7.1.1),2) 청정한 연료와 기술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수혜자 수(명; SDG 7.1.2)
재생에너지 확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 재생에너지 분야 역량강화된 전문인력 수(명)*
(기술협력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 산업/주거시설 에너지 효율 개선 프로그램) 대상 지역(사업장) 에너지 효율 개선율(%) 에너지 효율 분야 역량강화된 전문인력 수(명)*
출처: KOICA(2021a), 분야별 성과프레임워크 해당 페이지.
주: 수혜자 수를 수혜자 수(성별)로 고쳐 사업을 통해 카운트 하는 사람 수를 성별로 관리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