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표 1 젠더행동계획(decision 3/CP.25 and amendments agreed in decisions 24/CP.27 and 15/CP.28)

우선순위 (priority area) 활동(activities)
A. 능력 개발, 지식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capacity-building, knowledg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1 국가 기후 정책 및 계획에 젠더 주류화를 위한 정부 및 이해관계자 역량 강화.A.2 국가 성별 및 기후변화 초점 포인트 역할 명확화 및 역량 강화 지원.A.3 성별 분리 데이터 및 성별 분석을 기후변화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A.4 기후변화가 남녀에게 미치는 차별적 영향 및 여성의 변화 주체로서 역할 강화.A.5 소셜 미디어 및 혁신적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리마 작업 프로그램 및 젠더행동계획 이행과 성평등에 대한 대중 소통 촉진.
B. 성별 균형, 참여 및 여성의 리더십 (gender balance, participation and women’s leadership) B.1 UNFCCC 과정에서 여성 대표들의 리더십과 협상 역량 강화를 위한 웨비나 및 훈련 제공.B.2 여성의 UNFCCC 세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여행 기금 촉진 및 관련 정보 공유 장려.B.3 지역 사회 및 원주민 여성의 기후 정책 참여 강화를 위해 대화 및 협업 촉진.
C. 일관성 (coherence) C.1 구성 기구의 회원들에게 업무 맥락에서 성별의 의무와 중요성을 일관되고 체계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강화.C.2 구성 기구 의장들이 성 관점을 업무에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 교환과 모범 사례 공유 촉진.C.3 협약 및 파리 협정 하의 부속 기구들과 다른 관련 유엔 기관 및 프로세스, 특히 2030 지속 가능한 발전 의제와의 젠더 실천적인 사항에 대한 협력 강화.C.4 당사국과 관련 UNFCCC 구성 기구들이 각자의 임무에 맞게 강화된 리마 작업 프로그램과 젠더 행동 계획의 지원 및 실행 장려.
D. 젠더 실천적인 대응 및 대응 수단 (gender-responsive implementation and means of implementation) D.1 젠더 실천적인 예산 편성을 국가 예산에 통합해 기후 정책 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지원.D.2 기후 정책에 성별 통합을 강화하기 위한 재정 및 기술 지원 인식 증진.D.3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젠더에 민감한 기술 솔루션 적용 촉진.D.4 성별 및 기후변화 정보 및 전문 지식의 수집과 통합 강화.D.5 기후 정책의 개발 및 이행에 여성 단체와 국가 젠더 기관의 참여 촉진.D.6 국가 기후 정책에 젠더를 통합한 당사국 간 교훈 및 젠더주류화 조치에 대한 정보 교환 강화.D.7 젠더분석(gender analysis)을 위한 성별분리(sex-disaggregated) 데이터 가용성 증진, 성별에 민감한 기후 정책 개선 지원.
E. 모니터링 및 보고 (monitoring and reporting) E.1 UNFCCC 과정 내 여성 리더십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및 보고 강화 및 해당 결정의 15(b)항에서 언급된 성별 구성 보고서의 맥락에서 사례 연구를 포함하여 이를 수행.E.2 당사국이 UNFCCC 과정 하의 정규 보고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보고하는 젠더 실천적인 기후 정책 이행 모니터링 및 보고.E.3 리마 작업 프로그램 및 젠더 행동 계획 검토 지원.E.4 젠더 행동 계획 이행 보고를 위한 개발도상국 당사국 지원 인식 제고.
출처: UNFCCC(2023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