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KOICA 제3차(2021∼2025) 성평등·기후변화 중기전략의 성과 프레임워크

부문 프로그램 성과(outcome) 지표 산출물(output) 지표
성평등 기후 행동 • 취약계층의 기후와 위기 관련 경제 사회적 취약성과 사망자 피해 감소(SDG 11.5)• 여성 및 취약계층에 초점을 둔 기후변화 관리 메커니즘 촉진(SDG 13.b) • 재난으로 인해 사망, 실종, 피해를 입은 인구수(성별분리)*• 구축된/개선된 여성 및 취약계층을 포함한 위기대응 메커니즘 및 정책
기후 변화 도시·생태·인프라 기후회복력 강화 • (SDG13.3.2) 기후변화 적응, 기술이전, 개발계획 수립의 결과로 수혜가 예상되는 인구수(명)※ 타 분야 전략에 해당하는 사업의 경우, 각 분야 전략 성과지표를 준용 • 기후적응 개발계획 수립건(수)• 회복력 향상 수혜자(수)• 복원된 산림 등 생태계 면적(ha)• 복원된 산림·생태로부터 연간 흡수된 온실가스 배출량(CO2-eq.; 저탄소 전환 지원과 교차지표)
출처: 한국국제협력단(2021a: 247, 272).
주: SDGs-KOICA 성과프레임워크 개정본(2023년)에 따르면, 재난재해 관련으로는 통합물관리/재해 관리 역량강화 교육훈련을 받은 관리자(공무원) 수(명; 성별분리), 물 관련 재해대응 인식개선 교육 및 훈련을 받은 마을주민의 수(명; 성별분리)로 수정되었음(한국국제협력단, 2023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