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분석대상 사업과 성주류화 통합 유형

사업명 분야
I. 성주류화 언급 없는 사업
 1. WHO 키리바시 및 투발루 내 공동체 차원의 기후복원력 있는 보건시스템 구축사업(2017∼2021년) 보건의료
 2. 엘살바도르 기후변화 대응사업(2017∼2021) 기술환경에너지
 3. 필리핀 마닐라 홍수 조기경보 및 모니터링체계 구축사업(2010∼2019) 농림수산
 4. 에디오피아 재해경감을 위한 기상관측 및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사업(2014∼2018) n.a.
 5. 스리랑카 콜롬보 첨단 교통시스템 구축 기술지원사업(2013∼2017) 공공행정
 6. 라오스 남능강 유역 통합수자원관리 마스터플랜 수립사업(2016∼2018) 환경
 7. 미얀마 농업부산물을 재활용한 취사연료 개발 및 보급사업(2018∼2019) CTS 프로그램
II. 성주류화 요소가 기획단계(적절성)에만 포함된 사업
 8. 방글라데시 중북부 슬럼거주민들의 기후변화 적응력 강화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사업(2018∼2020) (다분야)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및 환경 자원 보존 (농림수산) 농어촌의자립역량강화
 9. 에티오피아 산림부문 중점 기후변화 대응 역량강화사업 종료평가 결과보고서(2018∼2020) (다분야) 기후변화 대응 역량 강화 및 환경 자원 보존 (농림수산) 농어촌의자립역량강화
 10. 베트남 친환경농업 및 농산물 유통망 개선을 통한 빈곤농가 소득증대 사업(2017∼2019) n.a.
 11. 우즈베키스탄 나보이 지역 조림사업(2013∼2017) n.a.
 12. 말라위 보전농업을 통한 지속가능한 소득증대 사업(2018∼2020) 산업에너지
 13. 필리핀 농업용수 확보 및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소규모저류시설 건설사업(2010∼2019) 농림수산
III. 성류화 요소가 기획 및 이행단계에 포함된 사업
 14. 미얀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분야 역량강화사업(2013∼2015) 산림(산림녹화, 조림, 기후변화 대응)
 15. 한인니 산림분야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사업(2009∼2013) 산림, 역량강화
 16. 에디오피아 SNNPR주 구라게존 식수위생환경개선사업(2013∼2019) n.a.
 17. 르완다 야루구루 농촌종합개발사업(2013∼2018) 농림수산
 18. 캄보디아 새마을운동 기반 농촌공동체 개발사업(2014∼2018) 농업/농촌개발
 19. 미얀마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력소외지역 생활여건 개선사업(2014∼ 2018) n.a.
 20. 케냐 분고마 추웰레지역 식수개발사업(2014∼2019) n.a.
 21. 한-WFP 새마을 제로헝거 커뮤니티 사업: 네팔, 르완다, 방글라데시, 탄자니아(2011∼2019) 농림수산
주: WFP, World Food Programme.
출처: 한국국제협력단(2016, 2018a-c, 2019, 2020a-e, 2021a,b, 2022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