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 학습의 접근성 | 학습 의지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학습의 질 | 학습 자기효능감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정체성 | 개인 정체성 |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사회 정체성 | 긍정적인 가치관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미래 | 미래 역량 | 사회성 역량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미래 기회 | 진로 개발 (4점 척도) | 1~2점이면 역량 박탈 | 1/8 |
공평성 | 젠더 공평성 | 학습, 정체성, 미래 지표 값의 성별 편차 | 6개 지표 중 3개 이상이 반대 성별의 평균보다 낮으면 역량 박탈 | 1/8 |
취약성에 대한 공평성 | 학습, 정체성, 미래 지표 값의 취약성 편차 | 6개 지표 중 3개 이상이 타 취약집단의 평균보다 낮으면 역량 박탈 | 1/8 |
지수의 성과충족 기준 | 지표 값의 가중총합이 0.33(1/3) 이상인 청소년을 LIFE 역량을 지니지 못한 자로 규정 |
성과지수 형식 | 의미(결과값) | 측정산식 |
LIFE 역량박탈 비율 | LIFE 역량을 지니지 못한 청소년 비율 [0(긍정)~1(부정)] | 지표 값의 가중총합이 0.33 이상인 표본 수 ÷ 전체 표본 수 |
LIFE 역량박탈 강도 | LIFE 역량을 지니지 못한 청소년의 역량박탈 정도 [0(긍정)~1(부정)] | 지표 값의 가중총합이 0.33 이상인 표본의 지표 값 가중평균 |
LIFE 지수 | LIFE 역량 양적, 질적 박탈로 인해 청소년 사회가 처한 상태 [0(긍정)~1(부정)] | LIFE 역량박탈 비율 × LIFE 역량박탈 강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