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적 국내업무 | 상황적 조건 | (국내근무에서 현지사업을 수행하는) 이중적 상황에 따르는 업무과중 | - 이중적 상황에 따른 업무 과중- 일과 삶의 균형(work and life balance) 붕괴 |
원격/비대면으로 인한 제한적 커뮤니케이션 | - 대면 상황 대비 충분한 정보와 의견 공유의 어려움- 정보 부족으로 인한 중요한 의사결정 지연- 결정 사항의 현장 전달 및 적용 시간의 지연 |
이중적 상황에서 오는 업무 역할 혼란 | - 사업 및 조직에서의 소외감- 국내에서 현지사업을 진행해야 하는 데서 오는 역할 혼란- 역할에 대한 다른 시선과 이해에 따른 기분 나쁨 |
결과 | 이중적 상황에서 가중되는 부담감 | - 임시적 환경에서 프로젝트 추진 지속에 대한 압박- 이중메시지에 대한 불만 |
사업추진의 다양한 방법 시도 및 신뢰의 확인 | - 변화를 받아들이고 다양한 방법을 시도- 현지 인력들이 주체적으로 사업 수행할 가능성을 확인 |
해외파견직의 특성상 제한되었던 경험의 확대 | - 유사업무를 하는 동료와의 업무 경험- 국내 조직의 시스템 이해- 자기계발 및 가족과의 시간 |
예상하지 못한 장기화 상황 | 상황적 조건 | 기약을 할 수 없는 현장 복귀 시점 | -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현장복귀의 시점의 지연- 현장 복귀 결정이 지속적으로 미루어지는 것을 경험- 현장 복귀의 불확실에서 파급된 다양한 불확실성과 불안 |
코로나19로 인한 업계 변화에 대한 기대와 우려 | -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환경 변화에 따른 어려움- 새로운 업계의 변화에 대한 대비 및 적응 |
결과 | 불확실한 상황에 기인한 부정적 인식과 정서 | - 기관/업계에 대처에 대한 아쉬움- 개인의 부정적 감정 경험 |
현 상황에 대한 적응 노력 | - 통제 노력(긍정적으로 생각하려는 노력)- 국내에서 할 수 있는 일과 향후 대응을 위한 준비 |
커리어에 대한 생각과 고민 심화 | - 커리어와 업무에 대한 진지한 고민-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개인 역량 강화 욕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