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KOICA 내 환경주류화 개념 정의 사례

출처 주요 내용
박명지(2009: 24) 환경주류화는 개발사업의 결과로 발생한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환경적 악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효과를 높이고, 지속가능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
임소영·손혁수(2012: 8) 개발사업의 결과로 발생한 환경문제에 사후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환경적인 악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지속가능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
한국국제협력단(기후변화환경실) (2013: 7) 환경주류화의 개념, ‘환경주류화 업무 수행 길라잡이’ 환경주류화는 개발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환경적인 악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지속가능개발을 도모하는 전략
한국국제협력단(2013) ‘환경주류화 이행전략 (2013∼2015년)’ 개발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환경적인 악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효과를 높이고, 동시에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를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 사업의 지속가능개발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
한국국제협력단(2013) ‘환경주류화 이행 지침’.(제정 2013.8.8./ 지침 제194호) “환경주류화”라 함은,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의 환경 이슈를 조직 및 제도 차원과 단계별 사업 추진에 고려하여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여 개발사업의 결과로 발생한 환경문제에 사후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환경적인 영향의 통합적 고려를 위한 전략을 의미한다.
한국국제협력단(2014)KOICA 환경담당관 교육5) 결과보고 자료(당시 녹색환경산업팀 주관) 환경주류화는 개발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환경적인 악영향을 사전에 고려하여 개발효과를 높이고, 지속가능개발을 도모하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