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전문 실무 | - | - | - 평가자의 태도 및 윤리준수 | - 평가수행의 성실성 및 진실성 여부- 평가 수행 시, 개인 연구용 데이터 수집 여부- 평가자 개인 연구 목적의 평가 결과 활용 시 협력단의 사전 승인 여부 |
II. 체계적 조사 | - 과업범위 이해도 | - 과업 세부실행방안(평가 대상 분석, 평가질문 타당성, 이해관계자 포함 적절성, 조사 계획의 적절성, 조사 방법의 적절성 등) | - 평가 방법론 제시- 국내 문헌 및 자료 조사- 현지조사 계획 및 수행- 조사내용 분석 수행- 평가결과의 객관성 제시- 평가제언의 유용성 검토- 보고서 작성의 성실성 | - |
III. 상황 분석 | - 지원사업 이해도 | - 평가 이해도(과업대상지 분석, 과업목표) | - 평가 이해관계자 파악- 평가대상 분석- 평가의 목적 및 범위 설명 | - |
IV. 평가 프로 젝트 관리 | - | - 투입 인력 현황 및 운용 계획- 평가관리 방안(품질관리, 일정관리 위험관리, 보고 및 산출물 관리)- 제안요청내용 개선방안 | - | - |
V. 자기 성찰 | - 해당분야 자격요건 부합도(자격사항 또는 외국어 능력 등) | - 핵심투입 인력 사업추진 역량- 국내외유사사업 수행실적 비율 | - | - |
VI. 대인 관계 | - | -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및 범분야 평가 수행계획 | - | - 사업 관련 이해관계자의 인권 및 문화, 관습, 종교적 신념 등 존중 여부- 평가 수행 시, 성주류화, 인종, 성별, 언어 등 차이 고려 여부- 피평가자의 의견 경청 및 존중 여부 |
기타 | - 해당분야 근무경력 부합도- 유사사업(ODA 포함) 참여 실적 | - 신용평가 등급- 일반현황 및 연혁- 회사 유사사업 수행실적 | - | - 사업평가 시 추가사업형성 등 평가 외의 업무 추가 시도 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