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문 실무 (professional practice) | 1.1. 평가 실무 가이드라인 적용(applies professional evaluation standards)1.2. 윤리적인 행동(acts ethically and strives for integrity and honesty in conducting evaluations)1.3. 잠재 평가 의뢰자에게 평가 접근방식 및 기술 전달(conveys personal evaluation approaches and skills to potential client)1.4. 평가 의뢰자, 응답자 및 프로그램 참여자 존중(respects clients, respondents, program participants)1.5. 평가 중 일반적이고 공적인 복지 고려(considers the general and public welfare in evaluation practice)1.6. 평가 지식 기반에 기여(contributes to the knowledge base of evaluation) |
2. 체계적 조사 (systemic inquiry) | 2.1. 평가 지식 기반을 이해(understands the knowledge base of evaluation)2.2. 양적 방법론에 대한 지식(knowledgeable about quantitative methods)2.4. 혼합 방법론에 대한 지식(knowledgeable about mixed methods)2.3. 질적 방법론에 대한 지식(knowledgeable about qualitative methods)2.5. 문헌 조사 수행(conducts literature reviews)2.6. 프로그램 이론 구체화(specifies program theory)2.7. 평가 질문 설계(frames evaluation questions)2.8. 평가 디자인(develops evaluation design)2.9. 데이터 출처 식별(identifies data sources)2.10. 데이터 수집(collects data)2.11. 데이터 타당도 측정(assesses validity of data)2.12. 데이터 신뢰도 측정(assesses reliability of data)2.13. 데이터 분석(analyzes data)2.14. 데이터 해석(interprets data)2.15. 결론 도출(makes judgments)2.16. 제언 도출(develops recommendation)2.17. 평가 전반에 걸쳐 결론의 근거 제공(provides rationales for decisions throughout the evaluation)2.18. 평가 절차 및 결과 보고(reports evaluation procedures and results)2.19. 평가 강점과 한계점 명시(note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the evaluation)2.20. 메타평가 수행(conducts meta-evaluations) |
3. 상황 분석 (context analysis) | 3.1. 프로그램 설명(묘사)(describes the program)3.2. 프로그램 평가성 결정(determines program evaluability3.3.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사 식별(identifies the interests of relevant stakeholders)3.4. 평가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정보 제공(serves the information needs of intended users)3.5. 갈등을 다룸(addresses conflicts)3.6. 평가의 조직적인 상황(맥락) 조사(examines the organizational context of the evaluation)3.7. 평가와 관련된 정치적 고려사항 분석(analyzes the political considerations relevant to the evaluation)3.8. 평가활용 문제(이슈)에 참여(attends to issues of evaluation use)3.9. 조직적 변화 이슈에 참여(attends to issues of organizational change)3.10. 평가 대상지 및 평가 의뢰자의 독특한 점을 존중(respects the uniqueness of the evaluation site and client)3.11. 다른 사람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개방(remains open to input from others)3.12. 필요에 따라 연구 수정(modifies the study as needed) |
4. 평가 프로젝트 관리 (evaluation project management) | 4.1. 제안요청서의 요구에 부응(responds to requests for proposals)4.2. 평가 시작 전 평가 의뢰자와 협상(negotiates with clients before the evaluation begins)4.3. 공식 계약서 작성(Writes formal agreements)4.4. 평가 전반에 걸쳐 평가 의뢰자와의 의사소통(communicates with clients throughout the evaluation process)4.5. 평가 예산 수립(budgets an evaluation)4.6. 구해야 하는 정보 비용 정당화(budgets an evaluation justifies cost given information needs)4.7. 정보, 전문가, 인적자원, 도구 등 평가에 필요한 자원 판단(identifies needed resources for evaluation, such as information, expertise, personnel, instruments)4.8. 적절한 기술 사용(uses appropriate technology)4.9. 평가 팀원 관리 감독(supervises others involved in conducting the evaluation)4.10. 평가 팀원 훈련(trains others involved in conducting the evaluation)4.11. 분쟁을 일으키지 않으며 평가 수행(conducts the evaluation in a nondisruptive manner)4.12. 적시에 과업을 완료(presents work in a timely manner) |
5. 자기 성찰 (reflective practice) | 5.1. 평가자로서 자기 인식(지식, 기술, 성향)(aware of self as an evaluator (knowledge, skills, dispositions))5.2. 개인 평가 실무에 대한 성찰(역량 및 성장)(reflects on personal evaluation practice(competencies and areas for growth)5.3. 평가 전문성 개발 추구(pursue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valuation)5.4. 관련 섹터 영역에서 전문성 개발을 추구(pursue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relevant content areas)5.5. 평가 실무 향상 위한 전문적인 관계 구축(builds professional relationships to enhance evaluation practice) |
6. 대인관계 (interpersonal competence) | 6.1. 서면 의사소통 사용(uses written communication skills)6.2. 구두/듣기 의사소통 사용(uses verbal/listening communication skills)6.3. 협상기술 사용(uses negotiation skills)6.4. 갈등 해결기술 사용(uses conflict resolution skills)6.5. 건설적인 대인 상호작용 촉진(팀워크, 그룹 촉진, 처리)(facilitates constructive interpersonal interaction(teamwork, group facilitation, processing))6.6. 범문화 역량 입증(demonstrates cross-cultural compet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