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기준 |
---|---|
직접목적(2점) | 장애 포용성이 개발협력 사업의 설계와 영향력 측면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사업의 명시적인 목적인 경우. 해당 사업이 장애포용성 목적을 제외하고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간접목적(1점) | 장애 포용성이 중요한 정책목적이긴 하나 해당사업을 수행해야할 주된 이유가 아니나, 사업의 여파가 장애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해당없음(0점) | 사업을 검토한 결과, 장애포용성 정책 목적과 관련이 없는 경우 |
미분류 | 해당 사업에 마커가 부여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해당없음’과 달리 정책목적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