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시스템 분야 | 세부 내용 | 효과 |
---|---|---|
보건의료 서비스 | 타겟 질병에 대한 의료 서비스 접근성 | + |
타겟이 아닌 의료 서비스 접근성 | - | |
의료 형평성 증대 | + | |
사회경제적 결정 요인 해결 | - | |
타겟 질병에 관한 의료 서비스 접근 신속성 | + | |
표준 의료 가이드라인 | + | |
의료서비스의 질 | + | |
보건의료 재정 | 개발도상국 보건 재정 확보(증가) | + |
보건 재정 배분 변화 | △ | |
타겟 서비스 무료 제공 | △ | |
혁신적 보건 재정 확보 | + | |
국별 수요기반의 타겟 질병 선정 | - | |
거버넌스 | 질병부담과 이니셔티브 지원 분야의 연계성 | - |
성과 기반의 접근 | △ | |
공공보건 관리에의 지역사회 참여 | + | |
보건의료 인력 관리 | 보건인력 업무 부담 증대 | - |
보건인력 역량강화 및 교육 | + | |
지역사회보건요원 외 새로운 인력 충원 | - | |
공공분야에서 민간 분야로의 인력 이동 | - | |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이직율 감소 | + | |
보건의료 정보시스템 | 질 높은 의료 정보에의 접근성 | + |
특정 질병에 대한 감지(Surveillance) 역량 | + | |
타겟 의료 서비스 외 보건 정보의 질적 제고 | - | |
보건의료정보 시스템 구축 | △ | |
보건의료정보 시스템 및 기술 개발의 혁신 | + | |
보건의료 공급망 관리 | 의료품에 대한 공급망 강화 | + |
의료품 재고 관리 | -, △ | |
특정 의료품에 대한 질적 제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