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분석결과 종합

요소 세부 항목 한국 일본 영국 독일 ADB
평가 환경 평가제도 법적 근거 있음 법적 근거 있음 지침 근거 있음 지침 근거 있음 지침 근거 있음
평가기획 목표 미합의 목표 명확 (전략에 반영) 목표 명확 (전략에 반영) 목표 명확 (전략에 반영) 목표 명확 (전략에 반영)
평가추진체계 국제개발협력위원회, 시행기관 간 협력 미흡 외무부 중심 개발협력전담부처 중심 독립평가기관 중심. 시행기관과 협력 독립평가부서 중심. 사업부서와 협력
평가 투입 평가시기 및 기간 일관된 기준 없음 4∼7개월 5년 주기 8∼9개월 5년 주기 1년 5년 주기 5∼10년 주기 1년∼1년 6개월
평가인력 및 예산 5명 내외 5천만 원 내외 5∼6명 1,500만 엔 4∼6명 10만$∼50만$ 6∼12명 10만$∼40만$
평가조직 제3자 위탁 인력관련 지침 미비 제3자 선정 독립평가팀 분야, 지역전문가 독립평가기관 독립평가부서, 분야, 지역전문가 지침으로 규정
수원국 및 이해관계자 참여 제한적 참여 제한적 참여 수원국과 공동평가 도입 현지공관 중심으로 수원국 참여 수원국 이해관계자 협의 수원국 이해관계자 의견 적극청취
평가 과정 평가방법 OECD/DAC 5대 기준 표준방법론 미비 현지조사 1회 7일 OECD/DAC 5대 기준, 개발 및 외교적 관점 추가 현지조사 1회 10일 OECD/DAC의 5대 평가 기준 표준 평가매트릭스, 구체적 방법론 추가 현지조사 2회, 4주 OECD/DAC의 5대 기준 활용 메타평가 OECD/DAC의 5대 평가 기준, 고급 방법론 추가 현지조사 2∼3회 이상
평가자료 정부기관 자료제공, 불충분 정부기관 자료제공 평가부서에 평가단에 방대한 자료전달 사업자료 온라인 DB 활용 사업운영부서 에서 필요한 자료 전달
평가수행절차 별도 이해관계자 협의 절차 미비 조사 전 이해관계자간 절차 협의 현지공관 중심 이해관계자간 절차 협의 평가전담기관 중심 이해관계자 절차 협의 지역사무소, 운영부서와 절차 협의
평가 결과 및 활용 평가결과 결과 일부 공개, 수원국 공유 미비 결과 공개 수원국 공유 결과 적극 공개 수원국 공유 결과 공개 결과 적극 공개 수원국 공유
평가결과 환류 환류체계는 있으나 반영하지 않음 환류체계 있음 반영여부 공표 제언 반영여부 반드시 응답 차기 국가협력전략 반영 평가제언 반영 및 추적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