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각국의 국별평가 관련 평가과정 요소 비교

한국 일본 영국 독일 ADB
평가 방법 ▪ OECD/DAC 5대 기준 활용▪ 평가자에 따라 설문조사, 인터뷰, 현장조사 등 평가방법을 다양하게 활용▪ 평가기준이나 방법에 대한 일관됨 지침은 없음▪ 7∼10일 이내 현지조사 실시 ▪ OECD/DAC 5대 기준 준용▪ 개발의 관점에서 정책의 타당성, 결과의 유효성, 과정의 적절성 평가▪ 외교적 관점에서 외교적인 중요성, 외교적 파급효과등 평가▪ 현지 조시기간은 약 10일 내외 ▪ OECD/DAC 5대 평가 기준으로 표준적인 평가 매트릭스▪ 세부기준들은 개별연구에 맞게 조정▪ 1주일 착수조사 1개월 후 3∼6명의 평가위원단이 3주간 현지조사 진행 ▪ 프로젝트 단위의 사업평가자료를 활용하여 메타평가 실시▪ 현지에서 사업운영하는 기관 및 이해관계자 인터뷰 실시 ▪ DAC 5대 평가기준 활용하여 표준 프레임 워크 준수▪ 심화된 평가방법론이나 평가기준은 각 평가팀에서 결정하여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 현지조사는 2∼3회 실시
평가 자료 ▪ 평가대상 시행기관이 제공하는 문헌자료 활용▪ 현지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 ▪ 정부기관이 제공하는 자료 및 현지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 ▪ DFID의 평가부서는 전략, 사업정보, 수원국에 관한 정보자료로 구성된 방대한 양의 증거자료를 평가단에 제공 ▪ 각 기관의 원조사업 자료를 온라인 DB 관리▪ GIZ 사무소가 M &E 부서를 운영하여 모니터링 체계를 담당 ▪ 전략, 정책에 대한 문서 및 사업운영부서의 사업자료 활용▪ 평가계획에 따라 자료 수집
평가 절차 ▪ 국내 사전준비 및 조사-평가설계-데이터 수집-데이터 분석-보고 등 단계로 진행▪ 국내외 이해관계자와 소통 ▪ 평가팀과 외무성 ODA 평가실의 일정조율을 마친 후 2번의 검토회를 개최하여 현지조사 계획 공유 ▪ 착수조사를 통해서 현지 사무소 의견 반영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작성하고 해외공관이 승인 ▪ DEval에서 관계기관에 자료협조요청하여 평가 실시 ▪ 평가의 대상과 내용은 각 지역사무소와 ADB 전략정책 담당부서와 협의▪ 운영부서의 의견을 청취하여 평가 세부사항에 대해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