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 | 세부 항목 | 구체적 기준 |
---|---|---|
평가 환경 | 평가제도 | 법제도적 근거가 명확한가 |
평가지침 또는 규정이 구비되어 있는가 | ||
평가기획 | 평가목표가 구체적이고 명확한가 | |
국가협력전략(CPS)의 평가목표를 반영하고 있는가 | ||
평가추진체계 | 평가를 위한 별도의 추진체계가 있는가 | |
추진체계 내 참여기관 역할이 명확한가 | ||
평가 투입 | 평가시기 및 기간 | 평가시기 및 주기 적정한가 |
평가기간이 충분한가 | ||
평가인력 및 예산 | 평가인력 규모가 적정한가 | |
평가인력의 전문성이 충분한가 | ||
평가예산이 충분한가 | ||
평가조직 | 평가조직이 제도화 되었는가 | |
평가조직 효율성, 공정성, 중립성을 갖췄는가 | ||
수원국 및 이해관계자 참여 | 수원국 및 이해관계자가 평가에 참여하는가 | |
평가 과정 | 평가방법 | 평가방법을 타당하게 설정하였는가 |
평가지표에 OECD/DAC 기준을 반영하였나 | ||
평가지표 구성이 적절한가 | ||
평가를 위한 현지조사를 충실하게 수행하였는가 | ||
평가자료 | 평가자료가 충분히 제공되었나 | |
평가자료의 시기적, 장소적 접근 용이한가 | ||
평가수행절차 | 평가절차의 구성 및 의견수렴의 합리적인가 | |
평가 결과 및 활용 | 평가결과 | 평가결과 공개 여부 및 공개범위의 적정한가 |
평가결과의 수원국 및 이해관계자 공유하는가 | ||
평가결과 환류 | 평가결과의 국가협력전략(CPS) 환류 적정한가 | |
평가결과를 사업계획 및 예산 등에 활용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