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개발협력 이슈

기후변화 적응의 국제협력 추진 현황 분석 및 방향 제시

이정호1, 강주연2
1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연구위원(sr87sr86@kei.re.kr, Tel: 044-415-7682)
2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연구원(jykang@kei.re.kr, Tel: 044-415-7441)

© Copyright 2015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Apr 01, 2019

I. 서론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2013 년 발간된 제1작업반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장기적인 전지구적 기후변화에 대해 21세기 후반(2081-2100년) 지구 평균 표면 온도는 아무리 보수적으로 예측하여도 ‘1986-2005년 대비 1.5℃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은 경제활동이 계속될 경우 최대 4.8℃까지 상승할 것으 로 예측하였다(2013 IPCC). 또한 IPCC는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심각성은 초대형 태풍이나 초장기 가뭄 등 유례가 없었던 극한기상현상(Extreme Weather Events)의 발생 빈도가 점차 잦아지는 것으 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특히, 이러한 극한 기상현상의 주요 발생지역이 동남아시아 등 개발도상국의 위치와 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발도상국의 기상 재난에 대한 회복력은 아무래도 선 진국보다 낮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손실과 피해를 사전 예 방할 수 있는 물적 또는 인적 인프라의 지원과 대책수립이 극한 기상현상에 대한 회복력 강화와 직결 되며, 국제적인 개발협력을 통해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