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의 가용성 (Food availability) | 국내 생산 및 수입(식량 원조 포함)을 통해 적절한 품질과 공급량의 확충 여부 | 평균 식품 에너지 공급량의 적절성, 평균 식량생산 가치, 곡물, 근류(root crops)로부터 얻는 에너지 공급량의 비중, 평균 단백질 공급량, 평균 동물성 단백질 공급량 |
식량의 접근성 (Food access) | 고영양의 식량자원 획득을 위해 개인 또는 국가가 식량자원에 접근하는 것이 얼마만큼 수월한지를 평가하는 개념으로, 식량자원의 독점적 생산뿐만 아니라 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 권리까지 고려됨. | 총 도로 포장률, 철도 밀도, 도로 밀도, 1인당 GDP(구매력 상당치 기준),영양부족률, 국내 식품가격지수, 빈곤층에서 식품지출 비중, 식량부족의 심각성, 식량 부적절률 |
식량의 안정성 (Food stability) | 단순히 식량을 획득하지 못하는 상황 이외에도 강우가 불규칙한 지역의 소농과 같이 식량 획득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지는 위험의 강도를 나타냄. | 곡물 수입 의존도, 총 상품수출액 대비 식량 수입액, 관개농경지 비율, 정치 안정과 폭력·테러의 부재, 국내 식량가격 변동성, 1인당 식량 생산 변동률, 1인당 식량 공급 변동률 |
식량의 활용성 (Food utilization) | 적절한 영양, 위생, 건강 측면에서 식량이 효율적으로 활용되는지를 의미함. 영양결핍과 같이 개인이 특정 영양소를 이용할 수 없어 질병에 걸리는 경우도 활용성 측면에서는 심각한 문제로 인식됨. | 수자원 접근성 개선도, 위생시설 접근성 개선도, 식량낭비에 영향을 받는 5세 미만 아동 비율, 발육이 부진한 5세 미만 아동 비율, 저체중인 5세 미만 아동 비율, 저체중 성인 비율, 임산부 중 빈혈 발병률, 5세 미만 어린이 중 빈혈 발병률, 비타민 A부족률, 요오드 부족률 |